본문 바로가기
건강_안전보건

안전제일 제조업의 위험성평가 사례

by 멋젱이님 2023. 3. 16.

안전제일 제조업의 위험성평가 사례_2

1) 회사개요
조직도
사장
부장
생산 1과, 생산 2과, 생산 3과
과별 작업자들

작업공정 별 위험요인
●원료 입고 : 탱크로리 충돌-유기용제
●계량/이송 : 이송펌프-유기용제
●배합/반응 : 추락, 화상-화재/폭발-유기용제
●포장 : 화재/ 폭발-유기용제
●저장/출하 : 유기용제-충돌
●용기세척 : 유기용제-근골격계 질환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업종 특성
O1
화학물질을 주원료로 반응기를 이용한 교반, 가열 발열반응을 통해 합성. 가공 작업
02
화학물질은 대부분 자동으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반응기로이송
03
반응공정의 경우 다양한 유기용제 발생원이 있음
04
반응 배합공정의 특성상 작업장 일부가 개방되어 있음

2) 위험성평가 대상 및 평가팀 구성
평가대상
생산 1과=>> 반응/배합 공정

평가 인원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생산 1과 과장
-작업반장
-경험이 풍부한 근로자

위험성 평가 사전 교육 실시
안전보건총괄책임자가 사전교육 실시->
생산 1과 :위험성평가 교재 및 사업장 위험평가에 관한 지침을 활용해 교육실시

3) 위험성평가 교육 실시
위험성 평가 교육 순서
01. 위험성평가개론 설명
02. 사업장 위험성 평가방법 설명
03. 위험성 평가 대상 작업현장 설명
04. 예제를 통해 위험성 평가 연습
05. 위험성 평가표를 사용하여 평가방법 설명
06. 기록 및 평가결과 검토수정 설명
07. 관계 법령 및 위험성 평가 지침 설명

4) 유해. 위험요인
평가 대상 공정의 유해. 위험요인
배합/반응 공정
01. 반응기 주변 작업 시 부주의로 추락위험
02. 전기기기에 의한감전
03. 폭발성 분위기 조성 시 점화원 작용
04. 반응기 맨홀개방 시 유해한 가스 흡입
05. 작업장 내 인화성 액체의 증기체류
06. 연결부위 액체 누출
07. 반응기내 폭발성 분위기에 의한 화재 폭발
08. 외부에서의 불씨 유입으로 인한 화재 폭발
09. 냉각수 차단으로 콘덴서 온도/압력 상승
10. 작업장 내에서의 화기작업
11. 반응 시 반응기 외부접촉
12. 작업장 내 조명 불량
13. 철야작업으로 인한 인진시고 위림
14. 반응기내 출입 시 질식위험


5) 위험성 추정 및 위험성 결정
■위험성 추정
=위험의 발생 가능성 ×위험의 중대성
=3x3 곱셈식을 활용하여 추정

■위험의 발생 가능성(빈도)
●자주(상) 3
•발생 가능성 높음
•실제 유해위험요인에 노출되는 시간이 매일 6시간 이상인 경우
●보통(중) 2
•발생 가능성 있음
•실제 유해위험요인에 노출되는 시간이 매일 2~6시간인 경우
●가끔(하) 1
•발생 가능성 낮음
•실제 유해위험요인에 노출되는 시간이 매일 2시간 미만인 경우

■위험의 중대성(강도)
●사망사고(중대재해) (대) 3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사고
•화학물질, 분진, 소음 등의 노출기준(권고기준) 초과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독성 물질 취급
•직업병 유소견자 발생
●상해사고 (중) 2
•실명, 절단 등 상해를 초래할 수 있는 사고
•의료기관의 치료를 요하는 사고
•노출기준(권고기준)의 50% 이상인 경우
●아차사고 (소) 1
•아차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경우
•노출기준(권고기준)의 50% 미만인 경우

위험성 추정표
3x3 위험성 추정 방법
◇위험(9)=가능성 상(3) ×중대성 대(3)
◇위험(6)=가능성 상(3) ×중대성 중(2)
◇위험(6)=가능성 중(2) ×중대성 대(3)
♡보통(4)=가능성 중(2) ×중대성 중(2)
♡보통(3)=가능성 상(3) ×중대성 소(1)
♡보통(3)=가능성 하(1) ×중대성 대(3)
♤낮음(2)=가능성 하(1) ×중대성 중(2)
♤낮음(2)=가능성 중(2) ×중대성 소(1)
♤낮음(1)=가능성 하(1) ×중대성 소(1)

◇위험(9,6)
•즉각적으로 법적인 안전개선대책을 실행하여야
하는 단계(즉시 작업중지)
•즉각적인 작업환경관리 개선대책률 실행하여야 하는 단계
♡보통(4,3)
•계획된 기간 내에 안전대책을 시행하여 리스크를
감소하여야 하는 단계
•작업환경관리 개선대책을 통해 유해위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단계
♤낮음(2,1)
•무시한 수 있는 유해위험 수준
•현재의 상황 유지

6)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위험성 감소대책
개선 조치 필요(높음, 보통)  → 개선 후 (낮음)
•담당자를 지정하여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치 요구일과 조치완료일 명기
•개선조치가 완료되었을 경우 완료여부 확인 조치

●위험성 평가방법 설명드립니다●






'건강_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DS관리  (0) 2023.03.22
위험성평가예시  (2) 2023.03.19
위험성평가 사례  (0) 2023.03.15
밀폐공간이란?  (0) 2023.03.14
산업재해 우리의 현주소와 예방법  (0) 2023.03.14